HomeLAB/Linux
-
[Linux] 도커로 Cloudflare Tunnel + Nginx Proxy Manager + Authelia 구성으로 포트 공개하지 않고 안전하게 외부로 서비스 공개하기HomeLAB/Linux 2025. 2. 16. 21:44
오라클 클라우드 Tree Tier에서는 생각보다 많은 컴퓨팅 자원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AMD x86 시스템에서는 1 CPU + 1GB의 인스턴스 2개, Ampere ARM 시스템에서는 4 CPU + 24GB의 인스턴스 1개까지 만들 수 있습니다. 원하면 전부 가능하나 통합 200기가의 용량은 그리 넉넉하지는 않지만 원한다면 쪼개어 3개의 인스턴스를 모두 만들 수 있습니다. 자세한 건 오라클 클라우드의 상시 무료 사용을 확인해 보면 됩니다. https://www.oracle.com/kr/cloud/free/#always-free 저의 경우에는 Ampere ARM 시스템에 모두 몰아주어 4 CPU + 24GB + 200GB 인스턴스 1개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항상 인터넷과 연결되어 있는 클라우드 ..
-
[Linux]Nginx Proxy Manager(NPM)에서 DB 오류 날때 해결 방법HomeLAB/Linux 2025. 1. 24. 16:24
오라클 클라우드를 사용하면서 Nginx Proxy Manager(NPM)를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홈랩 쪽은 OPNsense에서 HAProxy를 리버스 프록시로 사용하지만, 오라클 클라우드는 ARM에 CLI로 conf 파일을 설정해야 하는 게 좀 귀찮아서 NPM을 Docker로 설치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올리고 싶은 서비스의 docker-compose.yaml 파일에 대충 네트워크만 맞춰주고 컨테이너 올려주고 웹에서 "딸깍" 몇 번만 하면 그리 어렵지 않게 설정할 수 있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리버스 프록시 프로그램입니다. NPM에서는 자동으로 인증서를 갱신하기에 딱히 신경 쓸 필요는 없습니다. 그런데 얼마 전에 Let's Encrypt 측에서 인증서가 곧 만료된다는 메일이 왔는데, 왜 이런 메일이..
-
[Linux]리눅스에서 NVIDIA GPU 전력 제한하기HomeLAB/Linux 2024. 12. 3. 19:15
2024.12.02-리눅스에서 NVIDIA GPU 팬 속도 설정하기이전 글에서 리눅스에서 NVIDIA GPU의 팬 속도를 설정했습니다. GPU의 성능과 관리를 위한 고전적인 방법으로 팬 속도를 높게 고정시키는데, 요즘은 전력 제한이나 클럭 조절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GPU를 과열되지 않게 관리하고 성능을 떨어지지 않게 합니다. 이번에는 NVIDIA GPU의 전력을 제한하여 전기 소모량과 발열을 줄여 꾸준한 GPU 성능에 도움이 되도록 해볼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칩에 전기를 많이 공급할수록 성능이 오르지만, 칩에 무한정으로 전기를 많이 공급한다고 해서 선형적으로 성능이 오르지 않습니다. 또한 칩에 전기를 많이 공급한다면 그에 따라 발열도 늘어나는데, 발열이 늘어나게 되면 강제적으로 작동이 제한되는 쓰로틀링..
-
[Linux]리눅스에서 NVIDIA GPU 팬 속도 설정하기HomeLAB/Linux 2024. 12. 2. 16:26
홈랩으로 GPU 서버를 구축해 사용하면서 NVIDIA 그래픽카드 만을 사용하는데, GPU가 서버용이 아니라 컨슈머용이 몇 개 섞여있어 제로팬 기능이 들어간 GPU가 몇 개 있습니다.(데이터 센터용이면 팬도 없지만..) 어차피 서버가 별도의 공간에 있어서 제로팬 기능으로 소음을 줄여야 할 필요가 없을뿐더러 성능에 문제가 생길 요지가 있기 때문에 모든 GPU의 팬 속도를 90%로 맞춰놓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러면 소음은 늘어나겠지만 꾸준한 성능에는 도움이 됩니다. 물론 저처럼 소음을 신경 쓰지 않는다면 90%로 맞춰놓겠지만 원래는 GPU가 알아서 팬 속도를 조절하는 게 기본 값입니다. 하지만 팬 속도를 알아서 조절하는 경우가 소음이 더 심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팬 속도를 고정한다면 해결될 가능성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