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ikrotik RB5009UG+S+IN 개봉기HomeLAB/홈랩 잡담 2025. 7. 18. 18:34
https://expbox77.tistory.com/4
과거 Mikrotik RB2011U를 기글 하드웨어에서 나눔받은 적이 있다. 그 이후로 조금씩 설정하는 방법을 익히고 써보다가 결국에는 구형 제품의 한계를 느끼고 거의 찍먹 수준으로 그쳤다. 그리고 한 반년이 넘게 지났다. 서버쪽에 OPNsense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구형 X86 기반에 소프트웨어 방화벽이라서 전기도 많이 먹고 발열도 많아서 Mikrotik 제품을 구입하기로 결정했다.
초기 도입에 돈이 많이 들기 때문에 라우터는 고장이 잘 나지 않는다는 믿음을 가지고 중고로 이래저래 찾아봤지만 구할 수 없었다. 결국 새 제품을 구입하게 되었는데 모델 선정부터 구입 방법까지 정말 하나부터 열가지 정보를 서버포럼의 klayf님께서 거의 떠먹여주셨기에 구입까지 무사히 마칠 수 있었다.
처음에는 klayf님께서 자주 구입하시는 Getic에서 구입하려고 했으나,프로모션으로 9달러 배송비가 면제가 가능했고 빠르게 받아야하는 상황이 아니었기에 결제 방법, 반품/교환 등의 방법이 더 좋을 것 같아서 아마존에서 구입했다. 카드 수수료라던가 배송비 이것저것 했으면 조금 더 빨리 받긴 했겠으나 오히려 Getic이 더 비쌌을 가능성도 있다.
받고 난 뒤의 패키지 7월 11일 새벽쯤 구입했고 대충 22일 쯤 도착 예상이라 느긋하게 기다렸는데 7월 17일 도착하여 5영업일만에 꽤나 빠르게 왔다. 다만 패키징이 그냥 좀 질긴 종이 봉투에 아무런 완충재도 없이 그냥 넣어져있어서 굉장히 마음에 안들었다. 알리의 친환경 버전이라고 해야햐나.. 알리는 비닐에 넣어주는데 아마존은 종이에;; 사진으로 보다시피 덕분에 여러 방향에서 찌그러진 패키지를 받게 되었다. 여기서 기분이 살짝 나빠서 교환 받으려고 했는데 뭐.. 외관이 중요한 기기는 아니니까 그냥 DOA만 아니길 바랐다.
내부에 들어있는 물품은 별거 없다. 한국어는 없는 전면에 초기 계정 정보가 적혀있는 퀵가이드.
를 들어내면 어댑터와 본품이 있다. 어댑터는 100~240V 프리볼트, US플러그이고 24V 1.5A이다. RB2011U에 사용하던거보다 0.3A 밖에 안 높은 주제에 어댑터는 1.5배 커진 것 같다. 그 와중에 잘 고장난다는 이야기가 있으니 추후에 교환해야겠다.
본품과 어댑터를 지지하던 내장재를 제거하면 기기 아래에 붙이는 고무발, 앵커볼트가 있다. 정말 친환경적인 패키지.. 애플도 한 수 배우고 가는거 아닐까 싶다.
참고로 내장 박스는 이래저래 충격을 많이 받은 영향인지 찢어졌다.
본품의 외관. 생각보다 작아서 놀랐고 작은데 철제 프레임이라 든든한 느낌이 든다. Like 작은 거인.. 실제로 내 네트워크 전체를 책임할 녀석이니 틀린 말은 아니다.
500ml 생수병과 비교하면 이렇다.
서버랙에 넣을거라 랙이어를 구입해야하는데 정품 랙마운트 킷 K-79를 팔고 있었다. 무조건 이중화 할거라고 생각했는지 랙마운트 킷이 2/4개 기준으로 설계되어있다. 나 같은 사람은 어쩌라고.. 그래서 얼마 전에 3D 프린터에 입문한 형에게 입문할까 고민할 때쯤에 모델링 파일 찾아주면 뽑아줄 수 있느냐고 물어본 적이 있는데 흔쾌히 뽑아준다는 생각이 났다. 모델링 파일을 오픈해주는 사이트에서 좀 찾아봤더니 내가 딱 원하는 모델이 오픈되어있었다. 기쁨의 소리를 지르면서 연락했더니 뽑아준다더라. 천천히 기다리면 된다.
패키지는 찌그러지고 난리났는데 대충 보아하니 겉부분은 문제 없는 것 같아서 그냥 교환 없이 쓰려고한다. 이제 세팅과의 지옥이 펼쳐질 예정이다. 펌웨어 업데이트를 끝내고 추가 패키지를 깔고 이것저것 만져봤는데 확실히 어렵다. 대신 MIPS 기반에 메모리도 128MB 밖에 안되는 RB2011U에서도 꽤나 많은 일을 할 수 있었는데 ARM에 1GB 메모리인 RB5009로 업그레이드되어서 그런지 그만큼 할 수 있는 부분이 더 많아져서 좋다. 일단 세팅을 좀 더 해보고 프린팅된 물건을 받으면 그때 서버에 장착해야겠다.
'HomeLAB > 홈랩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디어 해결! Cloudflare Tunnel + NPM + Authelia (0) 2025.02.10 [40G 구축기] 를 작성해야겠다. (0) 2025.01.13 Mikrotik RB2011U에 대한 첫 인상. (0) 2024.11.07 네트워크 문제가 생길때 대충 애드가드를 찍으면 맞다. (3) 2024.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