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ikrotik RB2011U에 대한 첫 인상.HomeLAB/홈랩 잡담 2024. 11. 7. 00:36
살다 보면 이래저래 사고 싶은 게 있지만 여건상 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럴 때마다 "로또에 당첨되면 구입할 것"의 목록이 늘어난다. 하지만 로또에 5천 원 이상 당첨된 적이 없는 나로서는 그냥 장바구니가 조금씩 더 늘어가는 정도에서 그친다. 그 목록의 한편을 차지하고 있던 게 "미크로틱 장비"이다. 기글 하드웨어에서 미크로틱 장비(Mikrotik RB2011U)를 나눔 한다는 글이 올라온 지 몇 분도 채 안된 것을 발견하고 제일 먼저 댓글을 달았다. 정말 많은 사람들이 신청했지만 내가 선정되었다. 선정의 결과를 구슬 굴리는 뽑기 게임으로 영상으로 남기셨는데 뭔가 웃겼다. 신기하기도 했고.
기글 하드웨어에서 여러 유저들이 나눔 한 것 중에서 큰 나눔을 몇 가지 받은 것 같은데 나중에 그 이야기도 블로그에 천천히 풀어보려고 한다. 꽤 시간이 많이 지난 것도 있고 장터에서 구입한 거도 나름 이야기 올리고.. 그 처음의 이야기로 제일 최근에 받은 미크로틱(이라고 읽지만 국내 정식명칭은 마이크로틱이다.) RB2011U 부터다.
https://gigglehd.com/gg/bbs/16628935
[나눔수령] (사진많음)능구님의 고오급 장난감 Mikrotik RB2011U 수령했습니다. - 커뮤니티 게시판 -
저는 홈 서버의 라우터 장비를 X86 서버에 OPNsense를 설치해서 사용중입니다. 전기도 많이 먹는데다 그 정도의 컴퓨팅 파워를 써야할 정도로 스루풋이 많은건 아니지만.. 원래는 10Gbps로 찾아보던
gigglehd.com
자세한 내용은 위의 링크로 가면 볼 수 있다.
저는 홈 서버의 라우터 장비를 X86 서버에 OPNsense를 설치해서 사용 중입니다. 전기도 많이 먹는 데다 그 정도의 컴퓨팅 파워를 써야 할 정도로 스루풋이 많은 건 아니지만.. 원래는 10Gbps로 찾아보던 중에 어차피 X86에 OPNsense를 올릴 거면 그때 당시 Mellanox ConnectX-3 장비가 (지금도 그렇지만) 꽤나 저렴하게 풀리고 있어서 그쪽으로 구성했습니다. 물론 원하는 대역폭의 반토막이 겨우 나오면서 망했지만요.(아마 드라이버나 장비 간의 호환성 문제인 듯) 물론 쓰다 보니까 제가 접할 수 있는 라우터/공유기(주로 ipTIME)에서는 쓸 수 없는 고급 기능을 맛본 데다 40Gbps 장비에 매몰된 제 자원(시간, 돈, 노력 등)을 생각하니까 그냥저냥 쓰게 되더군요.
어쩌다 보니 친구가 보여준 유비쿼티 장비를 보고 유비쿼티 뽕이 살짝 오려다가 가격보고 바로 뽐이 죽고 나서 그냥 쓰던 거나 잘 쓰자는 생각으로 꽤 시간이 흘렀습니다. 그 이후에 잠깐 홈 서버를 사용하지 못할 때 다른 포럼에서 미크로틱 RouterOS에 관해서 가이드가 좀 올라오더군요. 그래서 새로 서버를 구성할 때 OPNsense를 걷어내고 미크로틱으로 구성할까 싶었으나.. 이거도 쉽게 건드릴 장비는 아니라는 판단 하에 중고 혹은 핫딜을 오랫동안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우연찮게 본 나눔에 선정되어서 나중에 미크로틱 장비를 구입해서 사용하더라도 익숙지 않은 채로 시작하는 게 아닌 조금이라도 써본 상태로 접근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능구님 정말 감사합니다.글을 보면 이렇게 서론을 길게 썼다. 뭔가 왜 미크로틱 장비에 대한 나눔을 받았는지 설명을 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 서버 장비는 이렇게 쓰고 있고 왜 이 장비를 원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충분한 빌드업을 쌓고 싶었다. 그래서 나눔 선정되고 배송받고 언박싱하고 사진 찍고 나서 이 서론을 적기까지 한 사흘 정도로 정말 많은 고민을 했다. 전해졌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https://mikrotik.com/product/RB2011UiAS-2HnD-IN
RB2011UiAS-2HnD-IN | MikroTik
2.4GHz AP, 5x Ethernet, 5x Gigabit Ethernet, SFP cage, USB, LCD, PoE output on Eth10, 600MHz CPU, 128MB RAM
mikrotik.com
정식 명칭은 Mikrotik RB2011UiAS-2HnD-IN 이다. 위가 공홈 페이지인데 내용을 확인해 보면 릴리즈 버전이 7.16.1이다. 처음 켜봤을 때 6.43.8 버전이던데 버전을 올리는 게 맞나 싶다가도 버전 다운그레이드 할 수도 있는 데다 프로덕션 레벨에서 사용하는 것도 아니고..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건데 버전 컨트롤이 큰 의미가 있나 싶긴 해서 업데이트하려고 한다. 그리고 서버 쪽에 사용하는 것도 아니고 공부용으로 쓰는 거니까 부담이 딱히 없기도 하다.
신기한 게 routeros 버전이랑 wireless 버전이 따로 있는데 이 부분은 ChatGPT 한테 물어보니까 무선 AP가 있는 모델이고 무선 기능이 필요하다면 설치하랜다. 사실 딱히 아는 것도 없고 일단 있기 때문에 전부 설치할 거지만..
신기하게도 블록 다이어그램 그러니까 배선이 어떻게 되어있는지 알려준다. 분해도 안 했는데도 내부 부품이 어떻게 되어있는지 알 수 있으니까 신기하기도 하고 정보를 잘 알 수 있어서 좋은 것 같다. 좀 더 공부해 보고 글 적어보도록 하겠다.
'HomeLAB > 홈랩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Mikrotik RB5009UG+S+IN 개봉기 (0) 2025.07.18 드디어 해결! Cloudflare Tunnel + NPM + Authelia (0) 2025.02.10 [40G 구축기] 를 작성해야겠다. (0) 2025.01.13 네트워크 문제가 생길때 대충 애드가드를 찍으면 맞다. (3) 2024.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