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LAB
-
[40G 구축기] 를 작성해야겠다.HomeLAB/홈랩 잡담 2025. 1. 13. 16:31
https://svrforum.com/svr/689965https://svrforum.com/svr/690242https://svrforum.com/svr/693098 2023년 서버포럼에서 OPNsense와 Mellanox ConnectX-3 CX354A-FCBT 인피니밴드/이더넷 카드를 사용하여 40Gbps 내부망 구축기를 작성한 바 있다.(위 링크 참조) 하지만 0에서 2에서 끊어졌는데, 그때 사용할 수 있는 대역폭이 반토막나고 "서버의 기분이 나쁘면"(이라는 표현을 쓴다는게 이상하지만) 10Gbps 언저리로 반의 반토막도 안나오는 대역폭을 사용할 수 밖에 없었기에 더 이상 글을 이어갈 수가 없었다. 물론 솔직히 10~20Gbps 이 정도만해도 적당히 쓸만한 대역폭이라 40Gbps가 안나오는게 아쉬..
-
[Linux]리눅스에서 NVIDIA GPU 전력 제한하기HomeLAB/Linux 2024. 12. 3. 19:15
2024.12.02-리눅스에서 NVIDIA GPU 팬 속도 설정하기이전 글에서 리눅스에서 NVIDIA GPU의 팬 속도를 설정했습니다. GPU의 성능과 관리를 위한 고전적인 방법으로 팬 속도를 높게 고정시키는데, 요즘은 전력 제한이나 클럭 조절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GPU를 과열되지 않게 관리하고 성능을 떨어지지 않게 합니다. 이번에는 NVIDIA GPU의 전력을 제한하여 전기 소모량과 발열을 줄여 꾸준한 GPU 성능에 도움이 되도록 해볼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칩에 전기를 많이 공급할수록 성능이 오르지만, 칩에 무한정으로 전기를 많이 공급한다고 해서 선형적으로 성능이 오르지 않습니다. 또한 칩에 전기를 많이 공급한다면 그에 따라 발열도 늘어나는데, 발열이 늘어나게 되면 강제적으로 작동이 제한되는 쓰로틀링..
-
[Linux]리눅스에서 NVIDIA GPU 팬 속도 설정하기HomeLAB/Linux 2024. 12. 2. 16:26
홈랩으로 GPU 서버를 구축해 사용하면서 NVIDIA 그래픽카드 만을 사용하는데, GPU가 서버용이 아니라 컨슈머용이 몇 개 섞여있어 제로팬 기능이 들어간 GPU가 몇 개 있습니다.(데이터 센터용이면 팬도 없지만..) 어차피 서버가 별도의 공간에 있어서 제로팬 기능으로 소음을 줄여야 할 필요가 없을뿐더러 성능에 문제가 생길 요지가 있기 때문에 모든 GPU의 팬 속도를 90%로 맞춰놓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러면 소음은 늘어나겠지만 꾸준한 성능에는 도움이 됩니다. 물론 저처럼 소음을 신경 쓰지 않는다면 90%로 맞춰놓겠지만 원래는 GPU가 알아서 팬 속도를 조절하는 게 기본 값입니다. 하지만 팬 속도를 알아서 조절하는 경우가 소음이 더 심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팬 속도를 고정한다면 해결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
Mikrotik RB2011U에 대한 첫 인상.HomeLAB/홈랩 잡담 2024. 11. 7. 00:36
살다 보면 이래저래 사고 싶은 게 있지만 여건상 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럴 때마다 "로또에 당첨되면 구입할 것"의 목록이 늘어난다. 하지만 로또에 5천 원 이상 당첨된 적이 없는 나로서는 그냥 장바구니가 조금씩 더 늘어가는 정도에서 그친다. 그 목록의 한편을 차지하고 있던 게 "미크로틱 장비"이다. 기글 하드웨어에서 미크로틱 장비(Mikrotik RB2011U)를 나눔 한다는 글이 올라온 지 몇 분도 채 안된 것을 발견하고 제일 먼저 댓글을 달았다. 정말 많은 사람들이 신청했지만 내가 선정되었다. 선정의 결과를 구슬 굴리는 뽑기 게임으로 영상으로 남기셨는데 뭔가 웃겼다. 신기하기도 했고. 기글 하드웨어에서 여러 유저들이 나눔 한 것 중에서 큰 나눔을 몇 가지 받은 것 같은데 나중에 그 이야기도 블..
-
네트워크 문제가 생길때 대충 애드가드를 찍으면 맞다.HomeLAB/홈랩 잡담 2024. 10. 27. 23:52
홈 서버의 라우터(OPNsense)에 WireGuard VPN을 설치해서 접속하려고 예전부터 시도했는데 설치 자체는 플러그인만 설치하면 되니까 그리 어려운 건 아니었다. 그런데 피어 생성하는 것, 클라이언트에 입력하는 것 전부 불편해서 SSH 포트를 열어두고 일부 관리 웹 서버도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사용했다. 당연히 포트 번호는 기본 포트를 사용하진 않았고 웹도 리버스 프록시를 사용했지만, 관리 관련한걸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다는 게 보안 관점에서 별로 좋아 보이진 않는다. 대충 한 6월부터 하드웨어, 장소 이슈 때문에 홈 서버를 전부 꺼두고 있었는데 드디어 해결돼서 다시 서버를 올리고 OPNsense를 최신 버전(24.7)으로 올리고 WireGuard VPN도 업데이트되고 플러그인이 아닌 기본 ..